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FIFA U-17 월드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FIFA U-17 월드컵은 17세 이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FIFA가 주관한다. 1977년 싱가포르의 라이온 시티컵에서 영감을 받아 1985년 중국에서 FIFA U-16 월드컵으로 시작되었으며, 1991년부터 현재의 U-17 월드컵으로 변경되었다. 나이지리아는 역대 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며, 2025년부터는 참가팀을 48개국으로 확대하고 매년 개최될 예정이다. 대회는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우승팀에게는 FIFA U-17 월드컵 트로피가 수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CONMEBOL-UEFA 컵 오브 챔피언스
    CONMEBOL-UEFA 컵 오브 챔피언스는 코파 아메리카 우승팀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팀 간의 맞대결로, 인터컨티넨탈컵의 국가대표팀 버전이자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의 전신으로 여겨지며, 아르헨티나가 2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고 다음 대회는 2026년 3월에 개최될 예정이다.
  • 198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유럽 소국 경기 대회
    유럽 소국 경기 대회는 유럽 올림픽 위원회 회원국 중 인구 100만 명 미만 국가들이 참가하여 육상, 수영 등 다양한 종목으로 경쟁하는 스포츠 대회이다.
  • FIFA U-17 월드컵 - 2007년 FIFA U-17 월드컵
    2007년 FIFA U-17 월드컵은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어 24개국이 참가, 나이지리아가 우승했으며,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토니 크로스, 매컬리 크리산투스 등의 수상자를 배출한 국제 축구 대회이다.
  • FIFA U-17 월드컵 - AFC U-17 아시안컵
    AFC U-17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17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FIFA U-17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대한민국은 2회, 일본은 최다인 4회 우승을 기록했다.
  • FIFA 대회에 관한 - OFC 챔피언스리그
    OFC 챔피언스리그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오세아니아 지역 최강 클럽을 가리고 우승팀은 FIFA 클럽 월드컵에 진출하며, 2007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FIFA 대회에 관한 - FIFA 클럽 월드컵
    FIFA 클럽 월드컵은 세계 최고 클럽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2000년 FIFA 클럽 세계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2005년부터 현재 명칭으로 개최되고 있으며, 2025년부터는 32개 팀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FIFA U-17 월드컵
대회 정보
주최FIFA
창설1985년
지역국제
참가 팀 수 (결승)24
관련 대회FIFA U-20 월드컵
현재 챔피언(1회 우승)
최다 우승 팀(5회 우승)
공식 웹사이트FIFA U-17 월드컵 공식 웹사이트
다음 대회2025년 FIFA U-17 월드컵

2. 역사

본 대회는 1977년 싱가포르 축구협회가 창설한 라이온 시티컵에서 영감을 받았다. 라이온 시티컵은 세계 최초의 16세 이하 축구 토너먼트였다. 1982년 라이온 시티컵 기간 중 싱가포르를 방문했던 FIFA 당시 사무총장 제프 블라터의 권고에 따라 FIFA는 FIFA U-16 월드컵을 창설했다.[1]

제1회 대회는 1985년 중국에서 개최되었다.[2] 이후 격년으로 대회가 개최되었다. 16세 이하 선수를 위한 대회로 시작하여 1991년부터 17세 이하로 연령 제한이 상향되었다. 2017년 대회인도에서 개최되었으며, 총 관중 수 1,347,133명으로 대회 역사상 가장 많은 관중을 기록했다.[3]

나이지리아는 5회 우승과 3회 준우승을 기록하며 이 대회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국가이다. 브라질은 4회 우승과 2회 준우승으로 두 번째로 성공적인 국가이다. 가나와 멕시코는 두 번 우승을 차지했다.

여자 선수를 위한 대회인 FIFA U-17 여자 월드컵2008년에 시작되었으며, 북한이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

2. 1. 대회 창설 배경

본 대회는 1977년 싱가포르 축구협회가 창설한 라이온 시티컵에서 영감을 받았다. 라이온 시티컵은 세계 최초의 16세 이하 축구 토너먼트였다. 1982년 라이온 시티컵 기간 중 싱가포르를 방문했던 FIFA 당시 사무총장 제프 블라터의 권고에 따라 FIFA는 FIFA U-16 월드컵을 창설했다.[1]

2. 2. 초기 대회 (1985-1989)

본 대회는 1977년 싱가포르 축구협회가 창설한 라이온 시티컵에서 영감을 받았다. 라이온 시티컵은 세계 최초의 16세 이하 축구 토너먼트였다. 1982년 라이온 시티컵 기간 중 싱가포르를 방문했던 FIFA 당시 사무총장 제프 블라터의 권고에 따라 FIFA는 FIFA U-16 월드컵을 창설했다.[1]

제1회 대회는 1985년 중국에서 개최되었으며,[2] 이후 격년으로 대회가 개최되었다. 16세 이하 선수를 위한 대회로 시작하여 1991년부터 17세 이하로 연령 제한이 상향되었다.

2. 3. 연령 제한 변경 및 대회 확대 (1991-현재)

1985년 중국에서 첫 대회가 개최된 이후 격년으로 대회가 열렸다.[2] 1991년 이탈리아 대회부터 참가 선수 연령이 17세 이하로 상향 조정되었다.[1]

2024년 3월 15일, 국제축구연맹(FIFA)은 2025년부터 본 대회 출전팀 수를 48개국으로 확대하고 매년 개최하며,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개 대회는 카타르에서 개최한다고 발표했다.[6]

2. 4. 대한민국과 FIFA U-17 월드컵

대한민국은 2007년 FIFA U-17 월드컵을 개최하였다.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은 총 6번 본선에 진출하여 2009년과 2019년에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2019년 대회에서는 이강인 선수가 골든볼을 수상하며 대한민국의 축구 유망주 발굴에 기여하였다.

3. 대회 구조

각 토너먼트는 4개 팀이 서로 경기를 치르는 조별 리그로 구성되며, 조별 순위에 따라 진출팀이 결정된다. 이후에는 승자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고 패자가 탈락하는 연속 경기인 토너먼트 단계가 이어진다. 두 팀이 남아 결승전을 치르고 우승팀을 결정할 때까지 이 과정이 계속된다. 패배한 준결승 진출팀은 3위 결정전을 치른다.

1985년부터 2005년까지는 16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에서 각 4개 팀씩 4개 조로 나뉘었다. 각 팀은 조별 다른 팀들과 경기를 치렀고, 각 조의 1, 2위 팀이 토너먼트 단계에 진출했다. 2007년부터는 토너먼트가 확대되어 24개 팀이 참가하고, 각 4개 팀씩 6개 조로 나뉘었다. 각 조의 상위 2개 팀과 3위 팀 중 상위 4개 팀이 토너먼트 단계에 진출했다.

경기는 전후반 각 45분씩(총 90분)으로 진행된다. 2011년 대회까지 토너먼트 단계에서 90분 후에도 동점이면 추가시간 30분이 주어졌고, 그래도 동점이면 승부차기가 진행되었다. 2011년 대회부터는 선수들의 체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연장전이 없어졌으며, 90분 후 동점이면 바로 승부차기로 진행된다.

2025년부터는 매년 개최되며, 48개 팀이 참가하여 12개 팀씩 4개의 '미니 토너먼트'로 나뉜다. 각 미니 토너먼트는 4개 팀씩 3개 조로 나뉘며, 각 조 1위와 각 조 2위 중 성적이 가장 좋은 팀이 4개 팀이 참가하는 토너먼트 단계에 진출한다. 각 미니 토너먼트 우승팀들은 준결승 2경기, 3위 결정전, 결승전을 통해 FIFA U-17 월드컵 챔피언을 가리는 '최종 4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4] 카타르는 2024년 3월 14일에 개최국으로 발표되었다.[5]

3. 1. 예선

각 대륙별 연맹(AFC, CAF, CONCACAF, CONMEBOL, OFC, UEFA) 주관의 U-17 선수권 대회를 통해 본선 진출팀을 결정한다. 개최국은 자동적으로 본선에 진출한다.

대륙별 연맹대회
아시아 축구 연맹 (AFC)AFC U-17 아시안컵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아프리카 U-17 축구 선수권 대회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CONCACAF U-17 축구 선수권 대회
남미 축구 연맹 (CONMEBOL)남아메리카 U-17 축구 선수권 대회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OFC)O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유럽 축구 연맹 (UEFA)UEFA U-17 축구 선수권 대회



나머지 팀들은 6개의 지역 연맹이 주관하는 대회를 통해 예선에 진출한다. 1985년 첫 대회에서는 유럽의 모든 팀과 볼리비아가 FIFA의 초청으로 출전했다.

350px

3. 1. 1. 대륙별 예선

wikitext

대륙별 연맹대회
아시아 축구 연맹 (AFC)AFC U-17 아시안컵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아프리카 U-17 축구 선수권 대회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CONCACAF U-17 축구 선수권 대회
남미 축구 연맹 (CONMEBOL)남아메리카 U-17 축구 선수권 대회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OFC)O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유럽 축구 연맹 (UEFA)UEFA U-17 축구 선수권 대회



각 토너먼트의 개최국은 자동적으로 예선을 통과한다. 나머지 팀들은 6개의 지역 연맹이 주관하는 대회를 통해 예선에 진출한다. 1985년 첫 대회에서는 유럽의 모든 팀과 볼리비아가 FIFA의 초청으로 출전했다.

연맹챔피언십
AFC (아시아)AFC U-17 아시안컵
CAF (아프리카)U-1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CONCACAF (북중미, 카리브)CONCACAF U-17 챔피언십
CONMEBOL (남아메리카)남아메리카 U-17 축구 선수권 대회
OFC (오세아니아)OFC U-16 챔피언십
UEFA (유럽)UEFA U-17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대륙 연맹(지역)선발 대회
AFC (아시아)AFC U-17 아시안컵
CAF (아프리카)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CONCACAF (북중미카리브해)CONCACAF U-17 축구 선수권 대회
CONMEBOL (남미)남아메리카 U-17 축구 선수권 대회
OFC (오세아니아)O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유럽)UEFA U-17 축구 선수권 대회


3. 2. 본선 (2023년 대회까지)

24개 팀이 4개 팀씩 6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하며, 각 조 상위 2개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4개 팀이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4] 16강 토너먼트는 단판 승부로 진행되며, 승리 팀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한다. 결승전에서 승리한 팀이 우승팀이 된다. 경기는 전후반 각 45분씩(총 90분)으로 진행된다.[4] 90분 경기 후 동점일 경우, 2011년 대회부터는 선수들의 체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한다.[4] (2009년 대회까지는 연장전 후 승부차기[4])

3. 3. 본선 (2025년 대회부터)

2025년부터 FIFA U-17 월드컵은 매년 개최되며, 48개 팀이 참가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진행된다.[4] 48개 팀은 12개 팀씩 4개의 '미니 토너먼트'로 나뉘며, 각 미니 토너먼트는 다시 4개 팀씩 3개 조로 구성된다.[4] 각 조 1위 팀과 각 조 2위 팀 중 성적이 가장 좋은 팀이 각 미니 토너먼트의 4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4]

각 미니 토너먼트 우승팀은 준결승 2경기, 3위 결정전, 결승전을 통해 FIFA U-17 월드컵 챔피언을 가리는 '최종 4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4]

4. 역대 대회 결과

승부차기 4–22–1 연장전16319892–2 연장전
승부차기 5–43–016419911–01–1 연장전
승부차기 4–116519932–11–1 연장전
승부차기 4–216619953–22–016719972–12–11681999}}0–0 연장전
승부차기 8–72–016920013–02–0161020031–01–1 연장전
승부차기 5–4161120053–02–1161220070–0 연장전
승부차기 3–02–1241320091–01–0241420112–04–3241520133–04–1241620152–03–2241720175–22–0241820192–13–1241920232–2
승부차기 4–33–0242020254821202648222027482320284824202948


4. 1. FIFA U-16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1985 ~ 1989)

1985년 FIFA U-16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를 시작으로 1989년까지 FIFA U-16 월드컵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1회 1985년 대회중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서독을 2-0으로 꺾고 우승하였다. 브라질기니를 4-1로 꺾고 3위를 차지하였다.

2회 1987년 대회캐나다에서 개최되었으며, 소련나이지리아와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하여 우승하였다. 코트디부아르이탈리아를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3위를 차지하였다.

3회 1989년 대회스코틀랜드에서 개최되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스코틀랜드와 2-2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승리하여 우승하였다. 포르투갈바레인을 3-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하였다.

4. 2.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1991 ~ 2005)

1991년부터 2005년까지 FIFA U-17 월드컵은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라는 명칭으로 개최되었다.

회차연도개최국우승득점준우승3위득점4위
4회19911–01–1
(4–1)
승부차기
5회19932–11–1
(4–2)
승부차기
6회19953–22–0
7회19972–12–1
8회19990–0
(8–7)
승부차기
2–0
9회20013–02–0
10회20031–01–1
(5–4)
승부차기
11회20053–02–1


4. 3. FIFA U-17 월드컵 (2007 ~ 현재)

2007년 FIFA U-17 월드컵은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스페인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독일은 가나를 2-1로 이기고 3위에 올랐다.

2009년 대회는 나이지리아에서 개최되었으며, 스위스가 결승전에서 나이지리아를 1-0으로 꺾고 우승했다. 스페인은 콜롬비아를 1-0으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

2011년 멕시코 대회에서는 멕시코가 우루과이를 2-0으로 꺾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독일은 브라질을 4-3으로 누르고 3위를 기록했다.

2013년 아랍에미리트 대회에서는 나이지리아가 멕시코를 3-0으로 완파하고 우승을 차지했다. 스웨덴은 아르헨티나를 4-1로 대파하고 3위에 올랐다.

2015년 칠레 대회에서는 나이지리아가 결승에서 말리를 2-0으로 꺾고 다시 한번 우승을 차지했다. 벨기에는 멕시코를 3-2로 이기고 3위를 기록했다.

2017년 인도 대회에서는 잉글랜드가 스페인을 5-2로 대파하고 첫 우승을 달성했다. 브라질은 말리를 2-0으로 꺾고 3위에 올랐다.

2019년 브라질 대회에서는 브라질이 결승에서 멕시코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프랑스는 네덜란드를 3-1로 이기고 3위를 기록했다.

2021년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2023년 인도네시아 대회에서는 독일이 프랑스와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며 첫 우승을 차지했다. 말리는 아르헨티나를 3-0으로 꺾고 3위를 기록했다.

4. 4. 국가별 수상 횟수

우승준우승3위4위
나이지리아/Nigeria영어5 (1985, 1993, 2007, 2013, 2015)3 (1987, 2001, 2009)
브라질/Brasilpt4 (1997, 1999, 2003, 2019)2 (1995, 2005)2 (1985, 2017)1 (2011)
가나/Ghana영어2 (1991, 1995)2 (1993, 1997)1 (1999)1 (2007)
멕시코/Méxicoes2 (2005, 2011)2 (2013, 2019)1 (2015)
독일/Deutschlandde11 (2023)1 (1985)2 (2007, 2011)1 (1997)
프랑스/France프랑스어1 (2001)1 (2023)1 (2019)
러시아/Россияru21 (1987)
사우디아라비아/السعوديةar1 (1989)
스위스/Schweizde1 (2009)
잉글랜드/England영어1 (2017)
스페인/Españaes4 (1991, 2003, 2007, 2017)2 (1997, 2009)
말리/Mali프랑스어1 (2015)1 (2023)1 (2017)
스코틀랜드/Scotland영어1 (1989*)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영어1 (1999)
우루과이/Uruguayes1 (2011)
아르헨티나/Argentinaes3 (1991, 1995, 2003)3 (2001, 2013, 2023)
네덜란드/Nederlandnl1 (2005)1 (2019)
코트디부아르/Côte d'Ivoire프랑스어1 (1987)
포르투갈/Portugalpt1 (1989)
칠레/Chilees1 (1993)
부르키나파소/Burkina Faso프랑스어1 (2001)
스웨덴/Sverigesv1 (2013)
벨기에/Belgiënl1 (2015)
콜롬비아/Colombiaes2 (2003, 2009)
기니/Guinée프랑스어1 (1985)
이탈리아/Italiait1 (1987)
바레인/البحرينar1 (1989)
카타르/قطرar1 (1991)
폴란드/Polskapl1 (1993)
오만/عمانar1 (1995)
미국/United States영어1 (1999)
튀르키예/Türkiyetr1 (2005)



:#1 서독 대표팀 기록 포함

:#2 소비에트 연방의 기록은 현재 러시아가 계승한다.

4. 5. 대륙별 수상 횟수

연맹수상
CAF (아프리카)7회 우승, 나이지리아 (5회), 가나 (2회)
UEFA (유럽)5회 우승, 프랑스 (1회), 소련 (1회), 스위스 (1회), 잉글랜드 (1회), 독일 (1회)
CONMEBOL (남아메리카)4회 우승, 브라질
CONCACAF (북중미카리브)2회 우승, 멕시코
AFC (아시아)1회 우승, 사우디아라비아
OFC (오세아니아)준우승 (오스트레일리아, 1999년)



아프리카는 7회 우승(5회는 나이지리아, 2회는 가나)과 6회 준우승으로 가장 성공적인 대륙이다. 1993년 결승전은 같은 대륙의 두 팀이 맞붙었으며, 2015년에도 나이지리아와 말리가 결승에 진출하여 나이지리아가 6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남아메리카는 3회 우승과 3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아르헨티나는 3회 3위를 차지했고, 칠레는 1회 3위를, 콜롬비아는 2회 4위를 차지했지만, 후자 두 팀은 결승에 진출한 적이 없다.

유럽은 5회 우승(프랑스, 소련, 스위스, 잉글랜드, 독일 각 1회)과 7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스페인은 4회 준우승을 기록했고, 포르투갈네덜란드는 각각 1989년과 2005년에 3위를 차지했다.

북중미카리브는 2회 우승(멕시코가 2005년과 2011년 우승)을 기록했다. 이 연맹은 4회 결승에 진출(모두 멕시코)하였다.

아시아는 1회 우승(사우디아라비아가 1989년 우승)을 기록했으며, 이는 아시아 팀이 FIFA 남성부 대회에서 우승한 유일한 경우이자 결승에 진출한 유일한 경우이다. (오스트레일리아는 1999년 준우승을 차지했지만 당시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소속이었다.)

오세아니아는 우승 경험이 없으며, 1회 준우승(1999년 오스트레일리아)을 기록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이후 아시아 연맹으로 이적했다.

각 국가의 최고 성적 지도

5. 수상

FIFA U-17 월드컵에서는 여러 상들이 수여된다.



대회골든볼골든부트득점골든글러브FIFA 페어플레이 트로피
1985년 중국 윌리엄 마르첼 비테체크8수여되지 않음
1987년 캐나다 필립 오손두 무사 트라오레5
1989년 스코틀랜드 제임스 윌 포데 카마라3
1991년 이탈리아 니이 람프테이 아드리아누4
1993년 일본 다니엘 아도 윌슨 오루마6
1995년 에콰도르 모하메드 알카시리 다니엘 올솝5
1997년 이집트 세르히오 산타마리아 다비드7
1999년 뉴질랜드 랜던 도노번 이즈마엘 아도7
2001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플로랑 시나마 퐁골레 플로랑 시나마 퐁골레9
2003년 핀란드 세스크 파브레가스 세스크 파브레가스5
2005년 페루 안데르송 카를로스 벨라5
2007년 대한민국 토니 크로스 마콜리 크리산투스7
2009년 나이지리아 사니 에마누엘 보르하5 벤자민 지그리스트
2011년 멕시코 훌리오 고메즈 술레이마네 쿨리발리9 조나단 쿠베로
2013년 아랍에미리트 켈레치 이헤아나초 발미르 베리샤7 델레 알람파수
2015년 칠레 켈레치 콰칼리 빅터 오시멘10 사무엘 디아라
2017년 인도 필 포든 리언 브루스터8 가브리엘 브라자우
2019년 브라질 가브리엘 베롱 손체 한센6 마테우스 도넬리
2023년 인도네시아 파리스 브루너 아구스틴 루베르토8 폴 아르그네이


5. 1. 골든볼 (최우수 선수)

FIFA U-17 월드컵 골든볼은 대회 최우수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1985년 중국에서 열린 첫 대회에서는 브라질의 윌리앙이 수상하였다. 이후, 필립 오순도, 제임스 윌, 니 램프티, 다니엘 아도, 모하메드 알카티리, 세르히오, 랜던 도너번, 플로랑 시나마 퐁골, 세스크 파브레가스, 안데르송, 토니 크로스, 사니 에마누엘, 훌리오 고메스, 켈레치 이헤아나초, 켈레치 콰칼리, 필 포든 등이 골든볼을 수상했다.

대회골든볼 수상자
1985년 중국윌리앙 세자르 지 올리베이라/William César de Oliveirapt
1987년 캐나다필립 오순도/Philip Osondu영어
1989년 스코틀랜드제임스 윌/James Will영어
1991년 이탈리아니 램프티/Nii Lamptey영어
1993년 일본다니엘 아도/Daniel Addo영어
1995년 에콰도르모하메드 아마르 알카티리/Mohammed Amar Al-Kathiriar
1997년 이집트세르히오 산타마리아/Sergio Santamaríaes
1999년 뉴질랜드랜던 도너번/Landon Donovan영어
2001년 트리니다드 토바고플로랑 시나마 퐁골/Florent Sinama Pongolle프랑스어
2003년 핀란드세스크 파브레가스/Cesc Fàbregases
2005년 페루안데르송 루이스 지 아브레우 올리베이라/Anderson Luís de Abreu Oliveirapt
2007년 대한민국토니 크로스/Toni Kroosde
2009년 나이지리아사니 에마누엘/Sani Emmanuel영어
2011년 멕시코훌리오 고메스 곤살레스/Julio Gómez Gonzálezes
2013년 아랍에미리트켈레치 이헤아나초/Kelechi Iheanacho영어
2015년 칠레켈레치 은와칼리/Kelechi Nwakali영어
2017년 인도필 포든/Phil Foden영어
2019년 브라질가브리엘 베롱/Gabriel Veronpt
2023년 인도네시아파리스 브루너/Paris Brunner영어


5. 2. 골든슈 (최다 득점자)

FIFA U-17 월드컵 골든슈는 대회 최다 득점자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1985년 중국 대회에서 8골을 기록한 서독의 마르셀 비테체크를 시작으로, 2023년 인도네시아 대회에서 8골을 넣은 아르헨티나아구스틴 루베르토까지 많은 선수들이 이 상을 받았다.

대회골든슈득점
1985년 중국마르셀 비테체크/Marcel Witeczekde8
1987년 캐나다무사 트라오레 (1971년생 축구 선수)/Moussa Traoré프랑스어5
1989년 스코틀랜드포데 카마라/Fode Camarapt3
1991년 이탈리아아드리아누 제를린 다 실바/Adriano Gerlin da Silvapt4
1993년 일본윌슨 오루마6
1995년 에콰도르대니얼 올솝5
1997년 이집트다비드 로드리게스 프라일레/David Rodriguez Frailees7
1999년 뉴질랜드이스마엘 아도7
2001년 트리니다드 토바고플로랑 시나마 퐁골9
2003년 핀란드세스크 파브레가스5
2005년 페루카를로스 벨라5
2007년 대한민국매컬리 크리산투스7
2009년 나이지리아보르하 곤살레스5
2011년 멕시코술레만 쿨리발리9
2013년 아랍에미리트발미르 베리샤7
2015년 칠레빅터 오시멘10
2017년 인도리언 브루스터8
2019년 브라질손체 한센/Sontje Hansennl6
2023년 인도네시아아구스틴 루베르토/Agustín Rubertoes8


참조

[1] 웹사이트 Youth Cup revived http://eresources.nl[...] 2019-01-02
[2] 뉴스 India could shatter Under 17 World Cup attendance record https://timesofindia[...] 2017-10-20
[3] 뉴스 FIFA U-17 WC in India becomes most attended in event's history https://timesofindia[...] 2017-10-28
[4] 웹사이트 FIFA U17 World Champions. https://digitalhub.f[...] 2023-04-18
[5] 웹사이트 Qatar appointed as host of FIFA U-17 World Cup™ annually from 2025 to 2029 https://inside.fifa.[...]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24-03-14
[6] 웹사이트 FIFA U-17ワールドカップの参加国を48チームに拡大 https://www.fifa.com[...] 국제축구연맹 2024-03-15
[7] 웹사이트 FUTURE OF FOOTBALL YOUTH TOURNAMENTS Proposal for the future of global youth competitions https://digitalhub.f[...] 국제축구연맹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